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인공지능
- 不不怕变
- ADSL
- 자바스크립트
- release
- 내장객체
- 배열
- Great things take time
- 자바스크립트 함수
- Array
- bom
- 직귀율
- 레거시 마이그레이션
- 도메인
- pop
- first view
- 각자의 밤
- javascript function
- 퍼스트 뷰
- 제어문
- javascript
- Electronic Commerece
- 반응형 디자인
- 사이트 이동 경로
- Done is better than perfect
- 객체
- 릴리스
- 怕不变
- 중요한건 꺾이지 않는 마음
- 기술면접 후기
Archives
- Today
- Total
1일1끄적
자바스크립트 입문, 객체2- 내장객체(2) 본문
○ 배열 객체
여러 개의 데이터를 하나의 저장소에 저장하기위해서는 배열 객체(Array Object)를 생성하면 된다.
var 참조변수 = new Array();
참조변수[0]=값1; 참조 변수[1]=값2; 참조 변수[2]=값3;...참조 변수[n-1]=값n
var 참조 변수 = new Array(값1, 값2, 값3, ...값n)
var 참조 변수=[값1, 값2, 값3, ...값n]
○ 배열 객체에 저장된 데이터 불러오기
참조 변수[인덱스 번호]
배열 객체에서 사용 할 수 있는 메서드와 속성
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ko/docs/Web/JavaScript/Reference/Global_Objects/Array
Array - JavaScript | MDN
JavaScript Array 전역 객체는 배열을 생성할 때 사용하는 리스트 형태의 고수준 객체입니다.
developer.mozilla.org
<script>
var arr_1 = ["혜화","사당", "길음" , "미아"];
var arr_2 = ["비트", "이더", "리플"];
var result = arr_1.join("-");
console.log(result);
// 배열에 저장된 값을 지정한 문자로 연결하여 하나의 문자열을 반환
result = arr_1.concat(arr_2);
console.log(result);
// 2개의 배열을 하나의 배열로 만들어 반환
result = arr_1.slice(1,3);
console.log(result);
// 배열의 1번 이전의 인덱스 요소를 잘라내고, 남은 값을 반환
result = arr_1.sort();
console.log(result);
// 배열의 값을 오름차순으로 정렬
arr_2.reverse();
console.log(arr_2);
// 배열 순서를 거꾸로 뒤집는다.
</script>
<script>
var blueArr = ["동대문","시청", "서울역" , "영등포"];
var greenArr = ["신촌", "홍대", "성수"];
blueArr.splice(2,1, "삼성", "강남");
console.log(blueArr);
// 2번 인덱스부터 1개의 데이터를 삭제한후,
// "삼성", "강남"을 삽입
var data1 = greenArr.pop();
var data2 = greenArr.shift();
// greenArr 배열 마지막 인덱스의 데이터를 data1에 저장한다
// greenArr 배열 가장 앞쪽 인덱스의 데이터를 data2에 저장한다
greenArr.push(data2);
console.log(greenArr);
// data2에 저장된 데이터를 greenArr 배열의 마지막 인덱스에 밀어넣는다
greenArr.unshift(data1);
console.log(greenArr);
// data1에 저장된 데이터를 greenArr 배열의 가장 앞쪽 인덱스에 밀어넣는다
</script>
○ 문자열 객체
문자열 객체(String Object)는 문자형 데이터를 객체로 취급하는 것으로, 자바스크립트에서 가장 많이 사용한다.
○ 문자열 객체 생성하가
var 참조 변수 = new String(문자형 데이터)
var t = new String("hellow javascript");
var 참조 변수 = 문자형 데이터
var t = "hello javascript";
<script>
var t = "Hello Welcome to inkor blog tistory blog"
document.write(t.charAt(6), "<br/>") // 인덱스 5에 저장된 문자를 불러온다
document.write(t.indexOf("blog", 23), "<br/>") // 문자열 왼쪽에서부터 제일 먼저 발견된 "blog" 인덱스 값 반환
document.write(t.lastIndexOf("blog"), "<br/>") // 문자열 오른쪽에서부터 왼쪽 방향으로 제일 먼저 발견된 "blog" 인덱스 값 반환
document.write(t.match("inkor"), "<br/>"); // 문자열 왼쪽에서부터 제일 먼저 발견된 "inkor"과 일치되는 문자를 찾아 반환합니다.
document.write(t.search("blog"), "<br/>"); // 문자열 왼쪽에서부터 제일 먼저 발견된 "blog"의 인덱스 값을 반환
document.write(t.substr(5,7), "<br/>"); // 문자열 인덱스 5부터 7글자를 가져온다
document.write(t.substring(10,15), "<br/>"); // 문자열 인덱스 10부터 15이전까지의 문자를 가져옵니다.
document.write(t.replace("blog","website"),"<br/>" ); // 문자열 왼쪽에서부터 제일 먼저 발견된 "blog"를 "website"로 치환
document.write(t.toLowerCase(),"<br/>"); // 문자열의 영문자가 모두 소문자로 바뀐 문자열을 반환
document.write(t.toUpperCase(),"<br/>"); // 문자열의 영만자가 모두 대문자로 바뀐 문자열을 반환
document.write(t.length, "<br/"); // 문자열의 문자 총 개수를 반환. 이때 공백도 문자로 취급한다
var s = t.split(" "); // 공백 문자를 기준으로 문자를 분리. 분리된 문자열은 배열에 저장되어 s에 할당
document.write(s[0], "<br/>"); // s의 인덱스의 0에 저장된 문자열을 출력.
document.write(s[4], "<br/>"); // s의 인덱스의 0에 저장된 문자열을 출력.
var str = "H"
var t = str.charCodeAt(0, "<br/>"); // 변수에 저장된 문자열 중 0번 인덱스의 "H"의 아스키 코드값을 반환
document.write(t, "<br/>"); //"H"의 아스키 코드값을 출력
document.write(String.fromCharCode(72), "<br/>"); // 코드값 에 해당하는 문자를 반환
</script>
○ 예제들
<script>
// 영문 이름 대문자로 바꿔 출력하는 예제
var userName = prompt("영문이름을 입력해주세요");
var upperName = userName.toUpperCase();
document.write(upperName, "<br>");
// 연락처 입력후 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**** 처리하는 예제
var userNum = prompt("연락처를 입력해주세요");
var result = userNum.substring(0, userNum.length - 4) + "****";
document.write(result, "<br>");
// 이메일 유효성 검사 예제
var userEmail = prompt("이메일을 입력해주세요", "");
var arrUrl=[".co.kr",".com", ".net", ".or.kr", ".go.kr"];
var check1 = false;
var check2 = false;
if(userEmail.indexOf("@")>0) {
check1 = true
} // @를 정상적으로 작성했으면 check1에 true를 저장
for(var i = 0; i<arrUrl.length;i++){
if(userEmail.indexOf(arrUrl[i])>0){
check2 = true;
}
} // arr.Url 데이터 개수를 반환,
//입력한 이메일과 arrUrl의 단어를 비교하여 1개의 단어라도 일치하면 check2에 true를 저장
if(check1 && check2){
document.write(userEmail);
}else{
alert("이메일 형식이 잘못되었습니다.")
}
</script>
-출처: 자바스크립트+제이쿼리입문 책 중
'개발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바스크립트 입문, 함수-1 (0) | 2021.12.04 |
---|---|
자바스크립트 입문, 객체3- 브라우저 객체 모델 (0) | 2021.12.02 |
자바스크립트 입문, 객체2- 내장객체(1) (0) | 2021.11.22 |
자바스크립트 입문, 객체-1 (0) | 2021.11.20 |
자바스크립트 입문, 제어문-반복문 2 (0) | 2021.11.14 |
Comments